2023.03.21 (화)

  • 맑음속초13.1℃
  • 맑음15.2℃
  • 맑음철원15.9℃
  • 맑음동두천16.6℃
  • 맑음파주13.5℃
  • 맑음대관령9.6℃
  • 맑음춘천15.6℃
  • 구름조금백령도6.6℃
  • 맑음북강릉12.4℃
  • 맑음강릉16.9℃
  • 맑음동해12.5℃
  • 맑음서울16.7℃
  • 맑음인천13.2℃
  • 맑음원주17.3℃
  • 맑음울릉도12.6℃
  • 맑음수원14.6℃
  • 맑음영월18.1℃
  • 맑음충주16.1℃
  • 맑음서산13.5℃
  • 맑음울진12.5℃
  • 맑음청주20.0℃
  • 맑음대전18.8℃
  • 맑음추풍령16.4℃
  • 맑음안동17.6℃
  • 맑음상주18.1℃
  • 맑음포항15.8℃
  • 맑음군산12.9℃
  • 맑음대구19.0℃
  • 맑음전주17.0℃
  • 구름많음울산14.3℃
  • 맑음창원14.4℃
  • 맑음광주18.4℃
  • 구름많음부산14.5℃
  • 흐림통영15.2℃
  • 구름많음목포15.8℃
  • 구름많음여수14.9℃
  • 흐림흑산도11.5℃
  • 구름조금완도14.4℃
  • 맑음고창13.6℃
  • 맑음순천14.7℃
  • 맑음홍성(예)14.9℃
  • 맑음17.3℃
  • 구름조금제주15.9℃
  • 구름많음고산16.1℃
  • 구름많음성산15.6℃
  • 구름많음서귀포15.9℃
  • 맑음진주15.5℃
  • 맑음강화9.7℃
  • 맑음양평16.8℃
  • 맑음이천16.9℃
  • 맑음인제13.9℃
  • 맑음홍천16.5℃
  • 맑음태백11.5℃
  • 맑음정선군14.4℃
  • 맑음제천13.2℃
  • 맑음보은18.1℃
  • 맑음천안17.5℃
  • 맑음보령11.9℃
  • 맑음부여16.9℃
  • 맑음금산17.2℃
  • 맑음18.1℃
  • 맑음부안11.7℃
  • 맑음임실18.0℃
  • 맑음정읍14.7℃
  • 맑음남원18.9℃
  • 맑음장수16.4℃
  • 맑음고창군15.3℃
  • 맑음영광군13.4℃
  • 맑음김해시15.6℃
  • 맑음순창군18.9℃
  • 맑음북창원15.7℃
  • 구름조금양산시16.2℃
  • 구름많음보성군15.1℃
  • 흐림강진군16.3℃
  • 흐림장흥15.9℃
  • 흐림해남15.7℃
  • 흐림고흥14.5℃
  • 맑음의령군
  • 맑음함양군18.4℃
  • 맑음광양시15.1℃
  • 구름많음진도군16.1℃
  • 맑음봉화13.2℃
  • 맑음영주13.9℃
  • 맑음문경15.3℃
  • 맑음청송군14.2℃
  • 맑음영덕11.7℃
  • 맑음의성17.6℃
  • 맑음구미17.3℃
  • 맑음영천16.1℃
  • 맑음경주시15.7℃
  • 맑음거창16.0℃
  • 맑음합천18.8℃
  • 맑음밀양17.9℃
  • 맑음산청17.0℃
  • 흐림거제15.1℃
  • 구름많음남해15.4℃
  • 구름조금15.8℃
기상청 제공
삼성바이오로직스, 제약바이오 업계 최초 연매출 3조원 돌파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뉴스

삼성바이오로직스, 제약바이오 업계 최초 연매출 3조원 돌파

2022년 연결기준 매출 3조13억원·영업 이익 9836억원…영업 이익 1조원 육박
로직스 별도기준 매출 2조4373억원, 매출 1조 달성 2년 만에 2조원 돌파
에피스 별도기준 매출 9463억원, 제품 판매 확대로 창사 후 최대 성과

삼성바이오로직스 3공장 전경

 

삼성바이오로직스가 글로벌 인플레이션 등 경제 위기에도 제약바이오 업계 최초로 2022년 연간 매출 3조원을 돌파하는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영업 이익은 1조원에 육박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별도 기준으로도 매출 2조4373억원, 영업 이익 9681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매출은 8693억원(+55%), 영업 이익은 4316억원(+80%)씩 각각 증가했다. 매출액은 2020년 1조원 달성 이후 2년 만에 2조원을 넘어섰다.

삼성바이오로직스(대표이사 존 림)는 2022년 연간 연결 기준 매출 3조13억원, 영업 이익 9836억원을 기록했다고 27일(금) 공시를 통해 밝혔다.

수주 확대 및 공장 가동률 상승, 삼성바이오에피스 100% 자회사 편입에 따른 외형 확대 등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매출은 1조4333억원(+91%), 영업 이익은 4463억원(+83%)씩 각각 크게 증가했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매출 9463억원, 영업 이익 2315억원을 기록했다. 글로벌 시장에서 바이오시밀러 제품 판매 확대로 전년 대비 매출은 993억원(+12%) 증가했고, 영업 이익은 388억원(+20%) 증가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22년 말 연결기준 자산은 16조5821억원, 자본 8조9845억원, 부채 7조5976억원을 기록했다. 부채 비율은 84.6%, 차입금 비율은 23.4%로 안정적 재무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수주 확대 및 공장 가동률 상승, 바이오에피스 100% 자회사 편입에 따른 외형 확대 등의 영향으로 연결 기준 4분기 매출 9655억원을 기록하며 역대 최대 분기 매출을 달성했다. 영업 이익은 3128억원을 기록했다.

4분기 별도 기준 매출은 공장 가동률 상승 및 운영 효율 극대화, 환율 상승에 따른 영향으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3034억원(+68%) 증가한 7477억원을 기록했으며, 영업 이익은 매출 증가에 따른 영향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799억원(+140%) 증가한 3085억원을 기록했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미국, 유럽 등 글로벌 시장에서의 바이오시밀러 제품 판매 확대에 따라 4분기 매출은 전년 같은 기간 대비 228억원(+10%) 증가한 2446억원을 기록했으며, 영업 이익은 전년 같은 기간 대비 388억원(+180%) 증가한 604억원을 기록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22년 글로벌 인플레이션·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긴축 등 전 세계 경제 위기에도 선제적 투자 및 사업 포트폴리오 강화를 통해 글로벌 톱 바이오 기업으로 도약을 본격화했다.

CMO 부문은 2022년 10월 착공 23개월 만에 단일 공장 기준 세계 최대 생산 능력(24만L)을 갖춘 4공장 부분 가동을 시작해 위탁 생산 능력을 강화했다. 4공장은 현재까지 글로벌 제약사 8개사와 11종 제품에 대해 계약 체결을 완료했고, 추가로 26개 이상 잠재 고객사와 34종 이상의 위탁 생산 계약을 논의하고 있다.

CDO 부문에서는 비대칭 구조로 생산력·안정성을 높인 차세대 이중항체 플랫폼 ‘에스듀얼(S-DUAL)’과 신약 후보 물질의 안정성 등을 분석 및 선별하는 ‘디벨롭픽(DEVELOPICK)’을 출시해 사업 포트폴리오를 강화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누적 수주 건수는 CMO 74건, CDO 101건이며, 누적 수주액은 95억달러 규모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2022년 4월 삼성바이오로직스의 100% 자회사로 전환됐으며, 글로벌 수준의 바이오의약품 개발 역량을 바탕으로 현재 총 10종의 바이오시밀러 파이프라인 가운데 6종을 상용화했다.

지난해에는 ‘휴미라’ 바이오시밀러(SB5) 고농도 제형의 미국 허가를 획득했고 ‘프롤리아’ 바이오시밀러(SB16)와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SB17)의 임상 3상을 완료하는 등 후속 파이프라인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며 꾸준히 성장 기반을 다지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앞으로 10년간 바이오 사업에 7조5000억원을 투자해 3대 축(생산 능력· 포트폴리오·지리적 거점) 중심의 성장을 이어갈 계획이다. 제2바이오캠퍼스를 통한 생산 능력 확장을 추진하는 한편, CDO 사업 강화 및 항체약물접합체(ADC)·유전자치료제 등 차세대 의약품으로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한다는 방침이다.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