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상세페이지

경남도 농업기술원, 장마 이후 작물 관리 현장기술지원

기사입력 2023.07.19 21:10

SNS 공유하기

fa tw gp
  • ba
  • ka ks url
    - 도 농업기술원, 침수된 논 도열병 등 병해충 방제기술 지도 나서
    - 7월말까지 장마 지속될 가능성 크며 대기불안정으로 국지적 많은 비 전망

    [더코리아-경남] 경상남도농업기술원(원장 정찬식)은 7월 전국적으로 발생한 집중호우로 인한 농업부문 피해 최소화를 위해 오는 8월 말까지 벼 도열병 등 병해충 방제기술 지도 및 사후 작물관리를 위한 맞춤형 현장기술지원에 나선다고 밝혔다.

     

    이번 집중호우를 포함하여 17일 기준 7월 경남의 누적 강수량은 평균 333.9mm으로 전년(32.9mm)과 평년(210.9mm) 대비 크게 증가하였으며, 장마가 7월 말까지 지속될 가능성이 크고 대기불안정으로 국지적으로 많은 비가 전망된다.

     

    경남 도내에서도 벼 침수, 과수 낙과, 시설물 파손 등의 피해상황이 발생하였으며, 장마가 지속됨에 따라 피해가 더 발생할 것으로 전망된다.

     

    벼는 물에 잠기게 되면 새끼치기(분얼)가 감소되고 급격한 병 발생으로 수량과 품질이 떨어지므로 최소한 잎 끝이 물 위로 나올 수 있도록 물빼기 작업을 실시하고, 고압분무기나 방제기를 활용해서 벼 줄기나 잎에 묻은 흙앙금과 오물을 제거해야 한다.

     

    물이 빠진 후에는 새물로 걸러대기 하여 뿌리의 활력을 촉진시키고, 침·관수된 논은 도열병, 흰잎마름병 및 벼멸구와 혹명나방 등 병해충 예방에 노력해야한다.

     

    쓰러진 벼는 신속히 일으켜 세워 품질 및 수량감소를 방지하고, 계속되는 장마로 인한 7월 일조 부족으로 분얼수가 적을 경우 이삭거름을 주는 것이 좋다.

     

    침수된 밭은 조기배수 및 쓰러진 농작물을 세우고, 겉흙이 씻겨 내려간 포기는 흙을 보완해주어야 하며, 생육이 불량한 포장은 요소 0.2%액(비료40g, 물20L)을 잎에 뿌려준다.

     

    과수원은 흙이 유실되거나 매몰된 곳은 빨리 정비하고, 수세가 약해진 나무는 요소를 잎에 뿌려서 빠르게 수세를 회복해야 한다. 침수되었던 축사는 청소와 소독 후 재 입식하고, 이후에 젖은 풀이나 변질된 사료를 주지 않도록 하여 고창증을 예방해야 한다.

     

    농업기술원 노치원 기술보급과장은 “여름철 잦은 비와 집중호우는 농작물과 농업인 안전에 큰 피해를 입힐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기상상황 모니터링을 통한 사고 예방이 필요하다” 며, “재해대책 상황실과 현장기술지원단 운영을 통해 사후 병해충 관리 기술을 지도하는 등 농가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동영상뉴스

    동영상뉴스

    backward top 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