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01 (토)

  • 구름많음속초17.0℃
  • 구름조금25.0℃
  • 맑음철원23.8℃
  • 맑음동두천23.0℃
  • 맑음파주23.0℃
  • 흐림대관령11.6℃
  • 구름조금춘천24.6℃
  • 맑음백령도17.6℃
  • 비북강릉15.6℃
  • 구름많음강릉16.3℃
  • 구름많음동해17.4℃
  • 맑음서울23.8℃
  • 맑음인천20.7℃
  • 맑음원주24.3℃
  • 구름많음울릉도17.6℃
  • 맑음수원21.6℃
  • 구름많음영월19.7℃
  • 맑음충주23.7℃
  • 맑음서산21.8℃
  • 구름많음울진16.7℃
  • 맑음청주24.0℃
  • 맑음대전23.8℃
  • 맑음추풍령22.4℃
  • 구름조금안동23.9℃
  • 맑음상주24.3℃
  • 흐림포항18.6℃
  • 맑음군산20.9℃
  • 구름많음대구25.7℃
  • 맑음전주22.1℃
  • 구름많음울산19.2℃
  • 구름조금창원22.9℃
  • 맑음광주22.8℃
  • 구름많음부산21.4℃
  • 구름많음통영23.8℃
  • 맑음목포20.2℃
  • 맑음여수25.2℃
  • 맑음흑산도18.7℃
  • 맑음완도23.0℃
  • 맑음고창21.0℃
  • 맑음순천22.1℃
  • 맑음홍성(예)22.3℃
  • 맑음22.0℃
  • 맑음제주21.9℃
  • 맑음고산18.4℃
  • 맑음성산21.6℃
  • 맑음서귀포23.7℃
  • 맑음진주25.8℃
  • 맑음강화20.8℃
  • 맑음양평24.2℃
  • 맑음이천23.5℃
  • 구름조금인제18.4℃
  • 맑음홍천24.1℃
  • 흐림태백12.5℃
  • 구름많음정선군18.7℃
  • 맑음제천22.3℃
  • 맑음보은22.6℃
  • 맑음천안22.6℃
  • 맑음보령20.0℃
  • 맑음부여23.3℃
  • 맑음금산22.7℃
  • 맑음23.2℃
  • 맑음부안20.2℃
  • 맑음임실21.2℃
  • 맑음정읍21.6℃
  • 구름조금남원22.9℃
  • 구름조금장수19.8℃
  • 맑음고창군21.6℃
  • 맑음영광군20.2℃
  • 구름많음김해시22.0℃
  • 맑음순창군22.6℃
  • 구름많음북창원24.3℃
  • 구름조금양산시23.2℃
  • 맑음보성군24.8℃
  • 맑음강진군23.7℃
  • 맑음장흥23.1℃
  • 맑음해남21.9℃
  • 맑음고흥25.3℃
  • 구름조금의령군25.9℃
  • 맑음함양군24.9℃
  • 맑음광양시24.7℃
  • 맑음진도군20.5℃
  • 구름많음봉화18.1℃
  • 맑음영주22.8℃
  • 맑음문경23.1℃
  • 구름많음청송군18.3℃
  • 구름많음영덕16.9℃
  • 구름조금의성24.9℃
  • 맑음구미25.2℃
  • 구름많음영천20.1℃
  • 흐림경주시20.2℃
  • 맑음거창23.6℃
  • 구름조금합천26.8℃
  • 구름많음밀양24.2℃
  • 맑음산청24.9℃
  • 구름조금거제22.6℃
  • 맑음남해25.5℃
  • 구름많음23.1℃
기상청 제공
고흥 팔영산, 국가지정문화재 ‘명승’지정 눈앞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뉴스

고흥 팔영산, 국가지정문화재 ‘명승’지정 눈앞

다도해 경관 조망, 역사적·학술적 가치 높아

[더코리아-전남 고흥] 고흥군(군수 공영민)은 고흥군 대표 명산인 ‘고흥 팔영산’이 국가지정문화재 ‘명승’으로 지정 예고 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문화재청이 국가 명승으로 지정 예고할 ‘고흥 팔영산’은 고흥군 영남면 금사리, 우천리와 점암면 강산리, 성기리 일대에 위치한 명산이다. 1998년 전라남도 도립공원으로 지정됐다가 2011년 유일하게 산지가 해상국립공원에 포함되면서 다도해해상국립공원 팔영산 지구로 승격됐다.

 

고흥 10경 가운데 으뜸으로 알려진 고흥 팔영산은 산 정상부 능선에 병풍처럼 이어진 여덟 개<유영봉(491m), 성주봉(538m), 생황봉(564m), 사자봉(578m), 오로봉(579m), 두류봉(596m), 칠성봉(598m), 적취봉(608m)>의 거대한 기암괴석 봉우리가 웅장한 경관을 이루고 각 봉우리에서 아름다운 다도해 풍광과 고흥반도의 산야를 조망할 수 있는 명소다.

 

팔영산 명칭은 고려·조선시대 팔전산(八巓山/八田山), 팔령산(八靈山) 등으로 불렸으나 조선후기 들어 팔영산(八影山)으로 불렸다. <세종실록>에 1448년 ‘병선을 짓기 위해 소나무를 사사로 베지 못하도록 법을 정하고, 연해(沿海) 주현(州縣)의 여러 섬과 각 곶(串)의 소나무가 잘되는 땅을 방문하여 장부에 기록했고, 1454년 팔전산 봉수가 언급돼 있으며, 조선후기<호남봉대장졸총록> 기록을 통해서도 팔전산의 봉수 운영을 알 수 있다.

 

또한, 1750년(영조 26) 세워진 ‘흥양팔영산능가사사적비’의 제액과 비문에도 ‘팔영산’의 기록이 남아 있고, ‘만경암상량문(1857년)’과 ‘팔영산만경암사적기(1873년)’,‘흥양군팔영산능가사서불암기(19세기 후반)’등에 팔영산의 명칭을 얻는 일화와 각 봉우리의 이름 등이 기록돼 있다.

 

팔영산(해발 606.8m)이 입지한 고흥반도의 지형은 후빙기(後氷期) 이후의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낮은 지역은 바다속에 잠기면서 반도가 형성됐다. 팔영산의 지질은 화산암 계열로, 거칠고 수직절리가 발달해 있고, 팔영산의 8개 봉우리는 남북 방향 능선을 따라 일직선으로 늘어서 봉우리 하나하나마다 급경사의 암벽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봉우리 주변으로는 고려시대 류비(청신)가 왜구의 침입을 피해 숨어들었다는 ‘류정승피난굴’과 조선후기 고종의 세자 기도처(왕실기도처)가 설치됐던 ‘서불암(西不思議庵)’이 위치한다. 아울러 근대기(1909) 의병 항쟁 전적지인 만경암지 등 역사 유적도 존재하고 있어 역사 교육의 장소로 활용할 수 있어 높은 가치를 인정받았다.

 

고흥군 관계자는 “고흥 팔영산의 역사적, 학술적, 경관적 가치를 모두 포함한 명승으로 지정 예고될 것으로 본다.”면서 “지역의 대표 명산의 활용에 대한 다각도의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1. 고흥 팔영산, 국가지정문화재 ‘명승’ 지정 눈앞 (1) - 고흥 팔영산 전경.jpg

 

1. 고흥 팔영산, 국가지정문화재 ‘명승’ 지정 눈앞 (2) - 두류봉(5봉에서 바라본 6봉).jpg

 

1. 고흥 팔영산, 국가지정문화재 ‘명승’ 지정 눈앞 (3) - 칠성봉(8봉에서 7봉 방향).jpg

 

1. 고흥 팔영산, 국가지정문화재 ‘명승’ 지정 눈앞 (4) - 성주봉(2봉에서 보는 다도해-여수방향).jpg

 

1. 고흥 팔영산, 국가지정문화재 ‘명승’ 지정 눈앞 (5) - 유영봉(2봉가는 암릉에서 바라본 1봉).jpg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