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01 (토)

  • 흐림속초14.6℃
  • 구름많음18.7℃
  • 구름조금철원17.1℃
  • 구름조금동두천19.1℃
  • 맑음파주17.1℃
  • 구름많음대관령9.5℃
  • 구름많음춘천18.4℃
  • 맑음백령도17.2℃
  • 비북강릉14.5℃
  • 흐림강릉15.5℃
  • 흐림동해14.6℃
  • 맑음서울19.3℃
  • 맑음인천18.6℃
  • 구름조금원주18.9℃
  • 흐림울릉도15.0℃
  • 맑음수원15.8℃
  • 구름많음영월15.8℃
  • 구름조금충주18.5℃
  • 맑음서산15.9℃
  • 흐림울진15.3℃
  • 맑음청주19.0℃
  • 맑음대전17.9℃
  • 맑음추풍령17.3℃
  • 구름조금안동16.3℃
  • 맑음상주18.3℃
  • 흐림포항17.3℃
  • 맑음군산16.1℃
  • 구름조금대구17.7℃
  • 맑음전주16.7℃
  • 흐림울산17.0℃
  • 맑음창원18.7℃
  • 맑음광주16.9℃
  • 맑음부산18.1℃
  • 맑음통영18.5℃
  • 맑음목포17.6℃
  • 맑음여수19.9℃
  • 구름조금흑산도16.7℃
  • 맑음완도17.2℃
  • 흐림고창17.4℃
  • 맑음순천16.3℃
  • 맑음홍성(예)16.9℃
  • 맑음15.6℃
  • 구름조금제주18.1℃
  • 구름많음고산17.3℃
  • 맑음성산18.2℃
  • 구름조금서귀포19.2℃
  • 구름조금진주16.8℃
  • 맑음강화17.9℃
  • 맑음양평19.0℃
  • 구름조금이천17.2℃
  • 흐림인제14.8℃
  • 구름조금홍천17.2℃
  • 구름많음태백12.2℃
  • 구름많음정선군14.2℃
  • 구름조금제천15.7℃
  • 맑음보은16.3℃
  • 맑음천안16.9℃
  • 맑음보령14.2℃
  • 맑음부여15.0℃
  • 맑음금산16.7℃
  • 맑음16.0℃
  • 맑음부안17.0℃
  • 맑음임실14.9℃
  • 맑음정읍16.1℃
  • 맑음남원15.2℃
  • 맑음장수13.0℃
  • 맑음고창군17.1℃
  • 구름많음영광군16.6℃
  • 구름많음김해시18.2℃
  • 맑음순창군15.0℃
  • 구름많음북창원20.2℃
  • 구름많음양산시19.5℃
  • 맑음보성군18.4℃
  • 맑음강진군17.8℃
  • 맑음장흥17.2℃
  • 맑음해남17.5℃
  • 맑음고흥16.3℃
  • 맑음의령군17.6℃
  • 맑음함양군17.9℃
  • 구름조금광양시18.6℃
  • 구름조금진도군17.3℃
  • 구름많음봉화15.9℃
  • 구름많음영주16.0℃
  • 맑음문경18.3℃
  • 구름조금청송군14.4℃
  • 흐림영덕15.3℃
  • 맑음의성16.1℃
  • 맑음구미18.3℃
  • 맑음영천16.3℃
  • 흐림경주시17.5℃
  • 맑음거창15.0℃
  • 구름조금합천19.3℃
  • 구름많음밀양20.0℃
  • 맑음산청18.6℃
  • 구름많음거제18.7℃
  • 맑음남해18.6℃
  • 구름많음19.0℃
기상청 제공
[공고] ‘23년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 신규 지원과제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뉴스

[공고] ‘23년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 신규 지원과제

총예산 9,376억원(계속예산 8,370억원, 신규예산 1,005억원) 중 1차 기획

 

① 주력산업 공급망 안정화 : 21개 과제 134억원

② 첨단신산업 소부장 지원 : 41개 과제 194.9억원

③ 탄소중립 등 ESG 대응 : 34개 과제 196.3억원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는 ‘23.2.8일∼‘23.3.9일까지 ‘23년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 96개 과제 525억원* 규모의 신규 지원과제를 공고한다.

 

* 전체 신규과제중 금번 1차 공고한 과제의 총액이며, 이는 금번 공고과제 지원예산 416억원 대비 1.26배수 수준

 

금년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은 ‘22년 예산 대비 11.5% 증가한 9,375.6억원 규모이며, 이중 계속예산은 8,370.3억원, 신규예산은 1,005.3억원으로 금번 공고는 신규예산 중 일부에 대한 1차 기획과제 공고이다.

 

패키지형 과제는 핵심소재 개발을 중심으로 소재-부품-모듈-수요 간 모든 단위기술에 걸쳐 연계 가능한 패키지형으로 기술개발을 지원하고,

 

이종기술융합형 과제는 시장수요에 대응하여 신속한 기술 확보를 위해 민간 투자연계 융?복합 소재부품 개발, 과기부 기초원천연구에 대한 상용화 개발을 지원한다.

 

‘23년도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 신규 과제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이차전지, 공정용 소재·부품, 전기차 등 주력산업 공급망 안정화를 흔들림없이 추진하고,

 

첨단반도체, 첨단바이오의약품, 6G, AAV(Advanced Air Vehicle, 미래형 첨단비행체) 등 미래 첨단신산업 소부장을 지원하여 미래성장 역량을 강화하는 한편,

 

탄소중립, 폐자원 재활용 등 ESG 대응에 필요한 차세대 기술개발을 지원하여 소부장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 역량을 강화한다.

 

각 분야별 예산, 주요 과제 및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주력산업 공급망 안정화를 위해 21개 과제, 134억원 신규 공고

 

(주요과제) 리튬인산철전지용 친환경 양극소재·전해액·셀, 이차전지 제조용 리튬 고내식성 내화세라믹 소재 및 부품, 차량용 열관리 접착제 및 Cell to Pack 배터리시스템 등 기술개발을 지원한다.

 

(기대효과) 장수명 및 저가격의 리튬인산철전지 산업생태계 구축으로 상용전기차 및 ESS 배터리 공급망 안정화(現 양극소재 전량 수입), 미국 IRA에 대응한 중국산 내화세라믹 원료에 대한 공급망 이슈 대응, 차량용 배터리 냉각기술 고도화 및 공정 단순화를 통해 배터리팩 글로벌시장(‘25년 200조원 전망) 경쟁력 확보에 기여한다.

 

리튬인산철전지용 친환경 양극소재·전해액·셀 제조기술

 

내화세라믹 원료 및

폐자원 재활용 기술

 

저중량 고방열 소재 및

Cell to Pack 배터리시스템

묶음 개체입니다.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fd804f6.bmp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51pixel, 세로 116pixel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fd80001.bmp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01pixel, 세로 101pixel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ctp.png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024pixel, 세로 429pixel


※ 본 보도자료에 사용된 모든 이미지·사진은 보도내용의 이해도 제고를 위해 인터넷상 이미지·사진을 활용한 것임

 

② 미래 첨단신산업 소부장 원천기술 확보를 위해 41개 과제, 194.9억원 신규 공고

 

(주요과제) 2.5D/3D 패키지용 실리콘 기반 핵심 수동부품, 맞춤형 생체이식 및 인공생체모사체용 소재, 6G용 초고주파 저손실 소재 및 통신부품, AAV용 통합 항공전자시스템 등 기술개발을 지원한다.

 

(기대효과) 고속반도체용 2.5D/3D 칩 패키지 소형화에 대응하는 원천기술 확보 및 반도체 수출경쟁력 강화, 첨단바이오의약품 시장 성장에 따른 세포배양소재의 공급부족 대응, 6G 이동통신 분야 핵심소재·부품 원천기술 확보를 통한 시장선점 및 수입대체, AAV용 항공전자시스템 핵심기술 확보로 방산수요 대응 및 항공 산업생태계 형성에 기여한다.

 

패키징용 핵심부품 개발

 

고기능성 생체이식 및

인공생체 모사체용 소재

 

AAV용 통합 항공전자시스템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3. 3D 기판.jpg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96pixel, 세로 281pixel

 

그림입니다.그림 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1.jpeg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1. aav.jpg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80pixel, 세로 531pixel


 

③ 탄소중립, 폐자원 재활용 등 ESG 대응에 필요한 차세대 기술개발을 위해 34개 과제, 196.3억원 신규 공고

 

(주요과제) 폐자원을 활용한 마그네슘 친환경 제련, 탄소배출 저감을 위한 친환경선박 풍력추진시스템, 수소전기차용 실링 및 서브 가스켓이 일체화된 프레임 가스켓 및 스택 등 기술개발을 지원한다.

 

(기대효과) 국내 친환경 마그네슘 제련 인프라를 구축하여 전략핵심소재의 자립화(現 마그네슘 원소재 전량수입), 국제해사기구(IMO)의 온실가스 배출기준에 부합하는 친환경 선박의 시장경쟁력 우위 확보, 수소전기차의 연료전지 스택 생산성 개선을 통해 수소전기차 저가화 및 보급 활성화에 기여한다.

폐자원을 활용한 마그네슘 친환경 제련기술

 

탄소배출 저감형 친환경선박 풍력추진시스템 기술개발

 

수소전기차의 연료전지 스택 생산성 개선 기술개발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jpeg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01pixel, 세로 251pixel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image2.jpeg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71pixel, 세로 186pixel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rotor sail.jpg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024pixel, 세로 661pixel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7b140002.bmp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94pixel, 세로 187pixel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7b140004.bmp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03pixel, 세로 190pixel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jpeg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52pixel, 세로 635pixel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351000de.jpg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600pixel, 세로 1361pixel프로그램 이름 : GoogleEXIF 버전 : 0220


 

한편,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은 소재·부품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2000년부터 정부가 지원하는 연구개발지원 사업으로서,

 

'23년 계속예산 8,370억원은 기계금속 분야가 1,962억원(23.4%)으로 지원규모가 가장 크며, 기초화학 1,888억원(22.6%), 전기전자 1,228억원(14.7%), 디스플레이 1,108억원(13.2%), 반도체 928억원(11.1%), 자동차 878억원(10.5%), 기타 375억원(4.4%) 순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동 사업을 통해 2019년부터 2021년까지 3년간 사업화 매출 2.7조원, 민간투자 1.7조원 등 경제적 성과를 창출하고 있으며,

 

대표적 성공 사례로 2022년 EUV 포토레지스트(수요기업 양산라인 적용 완료), 이차전지 파우치 필름(1.5조원 공급 계약 체결), 이차전지 인조흑연 음극재(9,393억원 공급 계약 체결) 등을 상용화하였다.

 

금번 공고한 96개 과제는 ‘22.8.8∼9.26일간 산업계 수요조사 시 접수된 1,552건을 중심으로 산업 분야별 기술위원회와 산학연 공청회 등을 통해 선정되어 최근 산학연의 기술개발 수요가 적극 반영되었으며,

 

산업부는 3.9일까지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홈페이지(https://itech.keit.re.kr)를 통해 동 과제에 관한 사업계획서를 제출받고, 이후 관련 전문가 평가 등을 거쳐 4월 중 주관연구기관을 선정할 계획이다.

 

양기욱 산업공급망정책관은 “이번 신규 연구개발 과제는 소부장 경쟁력 강화를 흔들림없이 추진하겠다는 정부의 강한 의지가 반영되어 있으며,

 

주력산업의 공급망 안정화뿐만 아니라 첨단신산업의 개발단계부터 국내 소부장 기업이 참여하여 미래성장 역량을 확충하고, 탄소중립 등 지속가능한 성장기반을 구축할 수 있도록 정부 연구개발 투자가 마중물 역할을 충실히 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자료제공 :(www.korea.kr)]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